-
[ 목차 ]
갓 태어난 아기인 신생아는 넓은 어깨와 허리를 갖고 있으며 복부는 돌출되어 있습니다. 몸의 비해 팔과 다리는 긴 편입니다. 신생아는 우리와 같이 어른인 몸이랑은 다른 모습입니다 이러한 신생아의 외적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른과 다른 점을 이해해 보도록 합시다.
1. 머리
1) 신생아 두개골의 크기
신생아의 머리는 몸에 비해 매우 크고, 두개골은 얼굴에 비해 큽니다. 또 일반적으로 얼굴에 비해 눈이 큽니다. 성인의 두개골은 전체 몸에 비해 7분의 1이지만 신생아의 두개골은 4분의 1입니다. 통상적인 머리 둘레는 출생 시 33~36cm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개월수별 남아, 여아 머리둘레는 아래표와 같습니다.
남아 머리둘레(cm) | 개월수 | 여아 머리둘레(cm) |
34.70 | 출생시 | 34.05 |
38.30 | 1~2개월 | 37.52 |
39.85 | 2~3개월 | 39.02 |
41.05 | 3~4개월 | 40.18 |
42.02 | 4~5개월 | 41.12 |
42.83 | 5~6개월 | 41.90 |
43.51 | 6~7개월 | 42.57 |
44.11 | 7~8개월 | 43.15 |
44.63 | 8~9개월 | 43.66 |
2) 대천문 소천문
갓 태어난 신생아 두개골에는 완전히 골화 되어 있지 않아 부드러우며, 두개골의 막에 덮인 간극이 있습니다. 머리의 가장 앞부분은 다이아몬드 모양의 대천문이 있고 머리뒤쪽에는 작은 삼각형 모양의 소천문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드러운 두개골은 출산할 때 산도를 잘 지날 수 있도록 모양을 바꾸며 때로는 모양이 길쭉한 고깔 형태로 태어날 수 있습니다.
3) 대천문 소천문 닫히는 시기
대천문은 생후 14개월부터 서서히 두개골이 융합이 되며, 24개월 후에는 완전히 닫힙니다. 소천문은 생후 6주~8주부터 닫히며 대천문보다 먼저 닫히게 됩니다. 닫히는 시기가 빠를 때에는 소두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4) 주의사항
대천문과 소천문은 움푹 들어가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누르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충격이 뇌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주어야 합니다. 신생아는 머리가 크게 움직이면 뇌출혈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최대한 흔들리지 않게 해주어야 합니다. 유모차를 탈 때도 튼튼하고 흔들림이 적은 것으로 선택하고, 카시트는 급정거로 인해 아기의 머리가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뒤보기를 해주는 등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 머리카락
1) 머리숱
두발이 풍성한 상태로 태어날 수도 있고 머리카락이 없이 대머리로도 태어날 수 있습니다. 신생아는 유전적으로 모낭수가 결정되어 태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풍성하게 태어났거나, 대머리로 태어났더라도 머리카락이 풍성해지는 시기는 아기마다 다릅니다.
2) 배냇머리
갓 태어난 신생아는 머리카락이 매우 얇습니다. 얇은 머리카락은 배냇머리라고도 하며 3개월이 지나면 다 빠지고 짙은 머리카락으로 새롭게 자라납니다. 미숙아의 경우 등 어깨 이마 귀 얼굴에 눈에 띄도록 털이 많이 있습니다. 이는 몇 주 안에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3) 머리카락관리
아기의 두피청결이 중요합니다. 아기용 저자극 샴푸를 사용하여 여린 두피를 관리해 줍니다. 머리카락을 말릴 때는 드라이기 말고 손수건이나 수건으로 말려줍니다. 배냇머리는 엉키고 빠지기 때문에 빗을 사용하여 빗질을 해주어 빠질 배냇머리들이 탈락될 수 있게 해 줍니다. 또 배냇머리는 옛말로 밀어야 머리숱이 많아진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증명된 게 아니며 오히려 여린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하고, 배냇머리를 꼭 밀어야 머리숱이 많아지는 건 아닙니다.
3. 탯줄
1) 모양
신생아의 탯줄은 푸른빛이 도는 흰색입니다.
2) 떨어지는 시기
탯줄을 자른 후 신생아 배에 붙어있는 탯줄은 마르고 수축하여 어두워지며 자연스럽게 빠르면 7일 ~ 늦으면 3주로 약 3주 이내에 떨어집니다. 떨어진 자리에 진물 이 나며 소독을 목욕후 해주어야 합니다. 아물고 나으면 배꼽이 됩니다. 진물 이 오랫동안 나게 되면 가까운 소아과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3) 혈관
탯줄에는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으로 3개의 혈관이 있습니다. 2개의 동맥은 아기로부터 태반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1개의 정맥은 아기에게 혈액을 운반합니다.
4. 성기
신생아의 성기는 붉은색을 띠며, 남성 신생아는 비정상적으로 큰 음낭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유방은 자연적으로 모성호르몬에 의해 확대되어 태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5. 결론
오늘은 신생아의 신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며 어른과의 다른 점을 이해하여 신생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가 세상에 나와 살아가는데 신체적으로 많은 성장이 되지 않아 힘들 수 있습니다. 보호자가 옆에서 많은 도움을 주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청색증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4.04.17 |
---|---|
신생아 모유수유 중요성과 잘 하는 방법 (0) | 2024.04.16 |
신생아 뇌출혈 원인과 치료방법 (1) | 2024.04.01 |
신생아 특례대출 (0) | 2024.03.29 |
부모급여 2024 언제까지 받을까 (0)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