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신생아 황달의 원인과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자
갓난아기를 낳고 나서 기쁘지만 신생아이기 때문에 걱정되는 점이 많습니다. 흔히 발생하는 황달에 대해 알아보고 원인은 무엇인지 해결법은 어떤 게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황달이란?
신생아 활달은 신생아기에 흔히 보이는 질환이며, 겉으로볼때 얼굴이 노랗게 보입니다. 대부분 좋아지지만 심한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황달발생 시기
황달은 생후 2~3일부터 보이기 시작하며 생후 3일쯤 가장 증상이 심했다가 5~7일경 조금씩 좋아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황달의 원인
신생아 황달의 원인은 피부에 빌리루빈 증가로 피부가 노랗게 되는 현상입니다. 빌리루빈은 수명을 다한 혈색소로부터 생성되는 것인데요 간을 거쳐 장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그러나 신생아는 적혈구가 약하기 때문에 몸에 빌리루빈이 증가하게 되면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생리적 황달
생리적 황달은 생후 1주일 정도가 되면 간기능이 발달되면서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없어집니다.
모유황달
생후 1일 주인이전은 모유가 부족하여 생기는 황달로 모유가 충분하지 못하면 빌리루빈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생후 1주일 이후는 모유 안에 성분이 빌리루빈의 대사를 방해하여 생기는 황달입니다. 이경우 배출되는데 2주~2개월 정도에 걸져 점자 좋아집니다. 황달 때문에 모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으나 전문의와 상담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리적 황달
생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생후 10일 이상 지속되는 황달을 말합니다. 얼굴만 노랗지 않고 목 가슴 배 다리 순으로 노랗게 된다면 황달수치가 높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엔 전문의와 상담을 해야 합니다.
황달의 수치
황달의 정상수치는 생후 24시간:8.0mg/dl미만, 생후 48시간:13mg/dl 미만, 생후 84시간:17mg/dl 미만입니다.
황달의 해결방법
빌리루빈 색소가 간을 거쳐 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신생아의 대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분유나 모유를 적게 먹는 신생아들은 배출이 안되기 때문에 황달이 없어지는 속도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생리적 황달이나 모유황달은 자연적으로 없어지며 병리적 황달은 치료가 필요합니다.